청년도약계좌란?
오늘은 2023년 6월에 출시 예정인 새로운 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를 소개해드립니다. 이 상품은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며, 매월 40만원에서 70만원의 적금을 5년 동안 납입하면 정부가 월 최대 2만 4000원을 더해주는 방식으로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상품입니다.
이 상품의 가입자는 개인 소득 수준,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어요. 소득 구간별 차등 매칭비율을 적용하여 개인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및 가입 기간은?
청년층은 19세에서 34세까지를 말하며, 개인 소득이 6000만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경우에 가입할 수 있어요. 병역 이행자의 경우 병역 이행 기간 만큼 가입 기간을 연장할 수도 있답니다.
참고로 2023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는 아래와 같습니다.
1인 가구: 3,740,206원
2인 가구: 6,221,079원
3인 가구: 7,982,669원
4인 가구: 9,721,735원
5인 가구: 11,395,238원
6인 가구: 13,010,366원
가입 후 최소 3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며, 이후 2년간은 변동금리를 적용해요. 하지만, 취급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3년 초과해도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며,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부여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랍니다.
다른 정책금융 상품과 중복 가입 가능할까?
저소득층 청년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을 위한 지원 상품인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은 동시가입이 가능합니다. 이달부터 출시되는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도 청년도약계좌와 동시가입이 허용됩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시절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은 사업목적이 유사해 중복가입은 불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도래했거나 중도해지 한 경우에만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이 가능합니다
만약 청년희망적금을 만기 이후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사실상 7년의 자산형성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청년도약계좌 사업이 올해 이후에도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경기악화로 매달 저축이 어려운 청년들을 위해 중도해지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정부가 '예적금담보부대출' 같은 지원책도 관계기관과 협의할 계획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은?
아직 취급기관이 확정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취급기관이 확정되면 6월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후의 더 자세한 상품 정보는 금융협회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활정보 > 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진흥공단 맞춤형 컨설팅 - 지원사업 대상 및 지원 항목 (0) | 2023.03.29 |
---|---|
SVB(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의 원인과 국내외 영향 (0) | 2023.03.14 |
[재테크] 연금 저축이란? 정의와 종류 그리고 필요한 이유 (0) | 2023.03.02 |
무순위 청약 거주지 요건 폐지, 다주택자도 가능해진다 (0) | 2023.02.28 |
댓글